KENFOX IP & Law Office > 저작권  > 베트남 상표 등록은 저작권 침해에 면책이 되나요?

베트남 상표 등록은 저작권 침해에 면책이 되나요?

상표와 저작권친숙하게 보일 있지만, 풍부한 법적 복잡성을 내포하는 개념. 많은 사람들이 상표 등록증을 받으면 추가 고려 없이 로고를 자유롭게 사용할 있는 “carte blanche” 얻는다고 오해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사실, 이는 상표 등록과 저작권 침해 문제가 완전히 별개의 법적 영역임을 보여줍니다. KENFOX IP & Law Office 핵심 차이점을 분석하고, 교차점을 탐구하며, 특히 등록 상표가 있더라도 저작권 침해 가능성이 지속되는 이유를 명확히 밝힙니다.

[Trademarks and copyrights – two concepts that may seem familiar, yet they harbor a wealth of legal complexities. Many mistakenly assume that obtaining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grants them a “carte blanche” to use the logo without any further considerations. However, the reality is far from simple. In fact, it demonstrates that trademark registration and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are two entirely distinct legal realms. KENFOX IP & Law Office analyzes the core differences, explores the points of intersection, and, in particular, elucidates why, even with a registered trademark, the potential for copyright infringement persists].

실제로, 베트남 지식재산청(VNIPO)이 제3자에게 다른 기관이나 개인에게 저작권으로 이미 보호받고 있는 로고와 디자인이 완전히 동일한 로고에 대해 상표 등록증을 발급하는 사례가 하게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질문이 제기됩니다: 이 제3자가 베트남에서 발급된 상표 등록증에만 의존하여 해당 타 기관이나 개인의 로고에 대한 저작권 침해의 법적 위험에 직면하지 않고 등록된 로고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In reality, there are numerous instances where th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Vietnam (VNIPO) issues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s to third parties for logos with designs that are completely identical to logos already protected by copyright belonging to another organization or individual. The question then arises: can this third party freely use the registered logo, relying solely on the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issued in Vietnam, without facing the legal risk of copyright infringement regarding the logo of that other organization or individual?]

답변은 “아니오”입니다. 상표 등록증은 베트남 지식재산청(VNIPO)과 같은 권한 있는 기관에서 발급된 경우에도 로고의 모든 사용에 대한 절대적인 자유를 보장하는 “황금 방패”가 아닙니다. 다시 말해, 상표 등록증을 소지하고 있다고 해서 제3자에게 로고를 무조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유한 권리가 자동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다른 기관이나 개인에게 이미 속한 저작권 측면을 고려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이 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상표 등록”과 “저작권 침해”라는 독립적이면서도 밀접하게 관련된 두 가지 법적 범주의 본질을 분석하고 구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The answer is “No”.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even when issued by a competent authority such as VNIPO, is not a “golden shield” guaranteeing absolute freedom for all uses of a logo. In other words, possessing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does not automatically grant a third party the inherent right to use a logo unconditionally, especially when considering the already protected copyright aspect belonging to other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To clarify this issu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distinguish the nature of two independent yet closely related legal categories: “Trademark Registration” and “Copyright Infringement”.]

상표 등록저작권 침해 명확한 구별

Clear-Cut Differenti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and “Copyright Infringement” 

지식재산 법체계에서, 상표와 저작권은 서로 다른 지식재산권을 규율하는 별도의 법적 제도입니다.

[Within the intellectual property legal system, trademarks and copyrights are two distinct legal regimes, regulating different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상표 등록: 베트남 지식재산청(VNIPO)이 상표 출원을 접수하고 심사할 때, 이 과정의 주요 초점은 상표에 관한 법적 규정과 구별성 및 준수 여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특히, VNIPO는 소비자 혼동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출원된 상표를 기존에 보호된 상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 및 비교 심사합니다. 더욱이, VNIPO는 상표의 독창성 및 식별력뿐만 아니라, 출원 중인 상품/서비스에 대한 상표법에 규정된 보호 기준 및 조건과의 상표의 적합성도 고려합니다. 따라서 VNIPO의 상표 등록 절차는 주로 상표 보호를 위한 규정 및 기준 준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Trademark Registration: When VNIPO receives and examines a trademark application, the primary focus of this process is to assess the distinctiveness and compliance with legal regulations regarding trademarks. Specifically, VNIPO will conduct an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the applied-for trademark against the database of previously protected trademarks to determine the potential for consumer confusion. Furthermore, VNIPO also considers the uniqueness and distinctive character of the trademark, as well as the conformity of the trademark with the protection standards and conditions stipulated by trademark law for the goods/services for which the trademark is being applied. Thus, the trademark registration process at VNIPO mainly revolves around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nd criteria for trademark protection.

  • 저작권 침해: 반대로, 저작권 침해, 저작인접권 침해(저작권) 문제는 어떤 주체가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저작물을 복제, 사용 또는 이용하는 행위를 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저작권법이 저작자 및 저작권자에게 부여하는 독점적 권리를 직접적으로 침해합니다. 저작권 침해 행위 및 적용 가능한 제재의 결정은 상표법과는 완전히 별개의 법률 분야인 저작권법에 의해 규율됩니다.

Copyright Infringement: In contrast,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related rights infringement (copyright) arises when an entity engages in the act of copying, using, or exploiting a copyrighted work without authorization from the copyright owner. This act directly infringes upon the exclusive rights that copyright law grants to authors and copyright owners. The determination of copyright infringement acts and applicable sanctions are governed by copyright law, a legal field entirely separate from trademark law.

상표 등록증이저작권 침해 면책 같은 것은 아닙니다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does not equate to “Immunity from copyright infringement”

상표 등록과 저작권 침해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절차 및 법적 요건은 완전히 별개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상표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고 베트남 지식재산청(VNIPO)으로부터 상표 등록증을 발급받았다는 사실이 해당 상표의 사용이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동으로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베트남 지식 재산권 사무소(VNIPO)를 포함한 상표 관리 당국은 로고와 관련된 모든 잠재적 지식 재산권, 특히 저작권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심사 범위에 있어 종종 제약을 겪습니다. 상표 심사 과정은 주로 관리 당국 자체 시스템 내 등록 상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데 집중합니다.

더욱이, 국가 관리 기관은 아무리 전문적으로 운영할지라도 전문적인 과정 중에 오류나 누락의 가능성에 면역이 아니라는 점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VNIPO에 의한 상표 등록 증명서의 발급이 특히 저작권과 같은 다른 지적 재산권을 고려할 때, 모든 측면에서 상표의 절대적인 법적 유효성을 보장하는 것과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It is crucial to emphasize that the criteria, procedures, and legal requirements for trademark registration and for determining copyright infringement are completely distinct. The fact that a trademark meets the registration standards and is granted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by VNIPO does not automatically guarantee that the use of that trademark will not infringe upon the copyright of another entity.

In practice, trademark management authorities, includ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Vietnam (VNIPO), often face limitations in resources and the scope of examination to conduct a comprehensive review of all potentia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sociated with a logo, particularly copyright. The trademark examination process primarily focuses on comparing against the database of registered trademarks within the management authority’s own system.

Furthermore,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state management agencies, no matter how professionally they operate, are not immune to the possibility of errors or omissions during their professional processes. Therefore, the issuance of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by VNIPO does not equate to ensuring the absolute legal validity of the trademark in all aspects, especially when considering ot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copyright].

유형 재산과 유사하게 Similar to tangible property

이러한 구분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유형 재산을 이용한 비유를 생각해 봅시다.

  • 토지 소유권 (상표와 유사): 국가로부터 토지 사용권 증명서를 부여받으면 (상표 등록 증명서와 유사), 법률 조항에 따라 해당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특정 권한을 부여받게 됩니다. 그러나…
  • 타인의 디자인에 기반한 건축 (저작권과 유사): 만약 당신이 당신의 토지에 집을 짓되, 허가 없이 타 건축가의 저작권이 있는 건축 설계 도면을 활용한다면, 당신의 토지 사용권 증명서는 해당 디자인 작업에 대한 건축가의 저작권을 침해할 권한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당신은 토지 권한을 소유하고 토지에 건축하는 것이 허용되지만, 건축을 수행하기 위해 타인의 저작권 있는 디자인을 사용할 권한을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베트남에서 제3자가 로고에 대한 상표를 등록하는 행위는 시장에서 그들의 “자동차,” “가구,” 및 “의료 기기” 상품/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한 상표로서 해당 로고를 사용할 권한만을 부여합니다. 이 상표 등록 증명서는 타 조직 또는 개인의 저작권 있는 로고 작품을 동의 없이 복제할 수 있는 권한을 자동으로 부여하지 않습니다.

To further clarify this distinction, consider an analogy using physical property:

  • Land Ownership (Analogous to Trademark): When you are granted a Land Use Right Certificate by the State (analogous to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you are bestowed with certain rights to utilize that land parcel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law. However…

  • Construction Based on Another’s Design (Analogous to Copyright): If you construct a house on your land but utilize architectural design blueprints copyrighted by another architect without permission, your Land Use Right Certificate does not grant you the right to infringe upon the architect’s copyright in that design work. You possess the land rights and are permitted to build on the land, but you do not inherently have the right to use another’s copyrighted design to carry out the construction.

Similarly, the act of a third party registering a trademark for a logo in Vietnam only grants them the right to use that logo as a trademark to distinguish their “automobiles,” “furniture,” and “medical devices” goods/services in the marketplace. This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does not automatically authorize them to copy the copyrighted logo artwork of another organization or individual without consent.]

로고를 상표로 사용하는 로고 작품을 복제하는 다릅니다.

“Using a logo as a trademark” is different from “Copying logo artwork”

  • 상표권: 상표 등록은 제3자에게 시장에서 “자동차”, “가구”, 및 “의료 기기” 상품/서비스의 상업적 출처를 식별하고 경쟁사의 상품/서비스와 구별하기 위해 해당 로고를 사용할 독점적인 권리를 부여합니다.
  • 저작권의 한계: 그러나 저작권법은 여전히 저작권 소유자(이 경우, 저작권자인 조직 또는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며, 제3자가 허가 없이 로고 작품을 복제하고 배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따라서, 제3자는 등록된 로고를 상표로 사용할 권리(브랜드 및 제품 식별 목적)를 가질 수 있지만, 해당 작품이 저작권으로 보호되는 경우 저작권 소유자의 허가 없이 로고 작품을 복제할 권리는 없습니다. 실제로, 이 맥락에서 “로고를 상표로 사용하는 것”이라는 행위는 종종 본질적으로 제품에 로고 작품을 복제하고 표시하는 것과 연관되며, 이것이 바로 저작권 침해의 위험을 야기하는 중요한 핵심 지점입니다.

  • [Trademark Rights: Trademark registration grants a third party the exclusive right to use the logo to identify the commercial origin and distinguish their “automobiles”, “furniture”, and “medical devices” goods/services from those of competitors in the marketplace.
  • Copyright Limitations: However, copyright law still protects the rights of the copyright owner (in this case, the organization or individual who is the copyright owner), and prohibits a third party from copying and distributing the logo artwork without permission”.

Therefore, a third party may have the right to use a registered logo as a trademark (for the purpose of brand and product identification), but they do not have the right to copy the logo artwork if that artwork is protected by copyright without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owner. In practice, the act of “using a logo as a trademark” in this context is often inherently linked to copying and displaying the logo artwork on products, and this is precisely the crucial point that gives rise to the risk of copyright infringement].

맺음말 – Closing thoughts

제3자가 VNIPO로부터 타 조직 또는 개인의 로고와 동일한 로고에 대한 상표 등록 증명서를 부여받았다는 사실이, 저작권 소유자의 저작권 침해로 인한 법적 책임에 대한 우려 없이 “자동차”, “가구”, “의료 기기” 등과 같은 제품에 해당 로고를 합법적으로 사용할 권리를 자동으로 갖게 되는 것과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상표 등록 증명서는 저작권 있는 작품에 대한 저작권 소유자가 미리 보유한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는 “허가증”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제3자가 저작권 소유자의 동의 없이 제품에 저작권 있는 로고를 활용하는 경우, 해당 제3자가 상표 등록 증명서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조치를 개시할 수 있는 완전한 법적 근거를 저작권 소유자는 갖습니다.

상표와 저작권은 보호 범위와 집행 메커니즘이 뚜렷하게 다른 두 개의 독립적인 법적 체계입니다. 베트남에서의 상표 등록은 보호받는 작품에 대한 기존의 저작권을 부정하거나 “무효화”할 수 없습니다. 제3자가 로고를 사용하는 행위는 상표 등록이 되어 있더라도 여전히 저작권 침해를 구성할 수 있으며 법에 명시된 법적 책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지식 재산권법 제73조 7항은 “작품의 복제물을 포함하는 표시는 해당 작품의 저작권자의 허가를 받지 않은 경우” 상표로 보호될 수 없다고 규정합니다.

[The fact that a third party is granted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by VNIPO for a logo that is identical to the logo of another organization or individual does not equate to them automatically having the lawful right to use that logo on products such as “automobiles”, “furniture”, “medical devices”, etc., without concern for legal liability due to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copyright owner.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cannot be regarded as a “license” to infringe upon pre-existing copyright held by the copyright owner for a copyrighted artwork. Should a third party utilize a copyrighted logo on produc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copyright owner, they possess full legal grounds to initiate legal action for copyright infringement, even if that third party holds a Trademark Registration Certificate.

Trademarks and copyrights are two independent legal regimes with distinct scopes of protection and enforcement mechanisms. Trademark registration in Vietnam cannot negate or “override” pre-existing copyright to a protected work. The act of a third party using a logo, even if trademarked, can still constitute copyright infringement and be subject to legal liability as stipulated by law. Consequently, Article 73.7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stipulates that “Signs containing copies of works, unless permitted by the copyright holder of that work,” shall not be protected as trademarks]

 

[/vc_column_text]

QUAN, Nguyen Vu | Partner, IP Attorney

HONG, Hoang Thi Tuyet | Senior Trademark Attorney

LY, Dinh Trang | Associ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