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권 침해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 중국 판례에서 베트남의 법적 공백까지
“재차 침해(repeat infringement)” 행위는 오랫동안 징벌적 손해배상을 포함한 보다 가혹한 제재를 부과할 수 있는 근거로 간주되어 왔다. 중국의 법체계는 이를 명문으로 허용하고 있으나, 실무상 재차 침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증거 연쇄가 필요하다. 최근 광저우시 월수구 인민법원이 Cartier 사건에서 내린 판결은, 중국 법원이 반복 침해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를 어떻게 평가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을 정당화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본 사건은 권리자가 청구를 강화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방법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가 부재한 베트남의 법적 공백을 드러내고 있다.
사실관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명품 브랜드 Cartier는 중국국가지식산권국(CNIPA)과 법원에 의해 반복적으로 주지 상표로 인정받아 왔다. 2020년 Cartier는 Zhang이라는 개인을 상대로 Weidian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위조 시계를 판매한 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였다. 양 당사자는 2021년 1월에 합의에 도달하였고, Zhang은 Cartier의 상표권을 인정하며, 모든 침해 행위를 중지하고 위조 상품을 폐기하며, 손해배상금 인민폐 120,000원을 지급하기로 약정하였다. 그러나 Zhang은 합의에 따르지 않았다. 그는 침해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오히려 다른 플랫폼으로 판매 경로를 전환하였으며, 위조 Cartier 시계의 홍보를 계속하였다. 이에 Cartier는 다시 소송을 제기하여 금지명령(injunction)과 함께 인민폐 300만 원의 징벌적 손해배상 및 기타 합리적 비용을 청구하였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Zhang이 다음과 같은 사실에 해당함을 인정하였다:
- 이전 합의로 Cartier의 권리와 자신의 행위의 불법성을 명백히 인식하고 있었음.
- Weidian 매장에서 WeChat으로 트래픽을 전환하기 위해 QR 코드를 게시한 후, WeChat 모멘트를 통해 위조 시계를 홍보하였음.
- 추가적인 Weidian 매장을 개설하고 새로운 제품군을 광고하며, 시계 문자판에 Cartier의 상표를 계속 사용하였음.
- 거래 과정에서 해당 상품이 불법임을 명시할 정도로 의도적이고 악의적인 태도를 보였음.
- 친족 명의로 계정을 운영하고 WeChat Pay 및 Alipay를 이용하여 대금을 처리함으로써 집행을 회피하였음.
공증, 타임스탬프 부여 및 법원의 조사명령을 통해 확보된 증거는 일관된 증거 연쇄를 형성하여 반복 침해 사실을 입증하였다.
법원의 판결
법원은 Zhang의 행위가 재차적이며 악의적인 침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하였다. 법원은 Zhang에게 다음과 같이 명령하였다:
- 즉시 모든 Cartier 위조 시계의 판매를 중단할 것.
- 온라인 플랫폼에서 침해 콘텐츠 및 상표를 삭제할 것.
- 총 인민폐 723,723원을 지급할 것. 이 금액에는 기본 손해배상의 두 배에 해당하는 인민폐 668,723원의 징벌적 손해배상과 인민폐 55,000원의 합리적 비용이 포함됨.
- 증거 보존 비용 인민폐 5,000원을 부담할 것.
베트남의 법적 공백: 지식재산권 사건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재
2015년 민법(제13조 및 제585조)에 따르면, 베트남은 순수한 보상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손해배상은 “실제 손해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전보하여야 하며, 이를 초과할 수 없다.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영미법 국가에서 인정되는, 고의적 또는 반복적 행위를 처벌하고 억지하기 위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식재산권(IP) 사건에서 이러한 법적 공백은 점점 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베트남 내 침해 행위는 갈수록 다양화·지능화되고 있으며, 오프라인 시장의 위조 상품에서부터 전자상거래 플랫폼, 소셜 미디어, 국경 간 라이브스트리밍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IP법 제205조는 실제 손해 입증이 곤란한 경우 500만 동에서 5억 동의 법정 손해배상을 인정하고 있으나, 이는 침해자가 얻는 불법 이익에 비해 불균형적이며 반복적 침해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사법 실무 역시 이러한 한계를 확인해준다. 다수의 IP 사건에서 인정되는 배상액은 상징적인 수준에 불과하며, 침해 상품의 시장가치에 현저히 미치지 못한다. 이로 인해 “고수익·저위험”이라는 인식이 조장되어 반복적 침해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다.
베트남이 국제적 경제통합을 심화함에 따라 압력은 점증하고 있다. 베트남은 위조 상품의 주요 소비시장인 동시에 중간 경유지로 부상하였다. 다수의 다국적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하고 기술을 이전하는 상황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재는 투자자의 신뢰를 약화시키고 법제도의 억지력을 훼손한다. 혁신을 보호하고 공정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
결론
중국의 Cartier 사건은, 권리자가 공증 기록, 온라인 활동 모니터링, 법원의 조사명령 등을 통해 탄탄한 증거 연쇄를 구축하는 경우 법원이 반복 침해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권리자가 의도적이고 지속적인 침해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경로를 제시한다.
반면, 베트남은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의 부재로 인해 권리자들이 제한된 구제수단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에 학계와 실무가에서는 특히 지식재산권, 식품안전, 소비자보호와 같이 고의적·조직적·사회적 위해성이 큰 분야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중국의 경험은 시사적이다. 중국은 2020년 민법을 개정하여 지식재산권 사건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법원이 실제 손해의 1배에서 5배에 이르는 배상을 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베트남도 유사한 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 입법적 측면에서 이는 지식재산권법과 민법을 개정하여, 고의적·반복적·대규모 또는 사회적 위해성이 큰 침해 사건에서 더 높은 배상배수를 인정하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고의성” 및 “재차성”의 엄격한 요건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적 측면에서는 입법 개혁을 기다리기보다 선제적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즉, 지식재산 자산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하고, 공증 및 기술적 수단을 통해 증거를 적극적으로 확보하며, 유리한 사법 선례를 구축하기 위해 신속하게 소송을 제기하고, 더 강력한 구제수단을 촉구하기 위한 정책 협의에 참여해야 한다.
적극적인 권리 집행과 점진적인 입법 개혁을 병행함으로써, 베트남은 실효적인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다. 이는 억지력을 강화하고, 혁신을 보호하며, 국제사회로부터 자국 지식재산 보호체계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QUAN, Nguyen Vu | Partner, IP Attorney
HONG, Hoang Thi Tuyet | Senior Trademark Attorney
SU, Do Van | Associate
Related Articles:
- Handling Trademark Infringement in Vietnam: 8 Key Considerations
- Genuine Goods, Trademark Infringement: The Rule One Proteins Victory in Vietnam
- Handl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in Vietnam: Which measures are effective?
- Assess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in Vietnam: Four Key Considerations
- Vietnamese People’s Court System and How it Works in Vietnam
- How to determine the jurisdiction of the court hearing IPR related cases in Vietnam?
- A trademark-based domain name dispute heard by Court in Vietnam. What should foreign businesses know?
- Court Case: A Cybersquatting Case Brought To Court For Hearing In Vietnam
- Provision of evidence and burden of proof at court
- A court case concerning well-known trademark “X-Men” between Marvel Characters Inc. and the Vietnamese applicant
- The Drastic RP7 Anti-counterfeit Campaign: How to Effectively Handl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s in Vietnam
- Unveiling a Counterfeit Food Supplement Ring: Criminal Prosecution for a Korean Trademark Counterfeiting Case
- Do You Really Understand The VIPRI Opinion On Enforcing IP Rights In Vietnam?
- New product launch: How to keep your product design from being “stolen”?